과거 역사를 살펴보면 군사정권에 이어 탄생한 김영삼 ‘문민정부’는 노태우, 김종필이라는 거물과 공동정부를 꾸려 탄생시킨 말 그대로 공동정부 형태였다. 이후 김대중 ‘국민의 정부’ 역시 새정치국민회의와 자유민주연합의 공동정부 형태였다. 이렇듯 정치적 이해와 타산에 따라 갈라서기도 하고 합쳐지기도 하는 것이 지난 정부의 모습이었다. 그런데 유독 이번 지방선거에서 공동정부라는 말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이 많은 공동정부를 구성했다. 무소속 김두관 경남지사도 그렇고, 민주당 소속 안희정 충남지사가 대표적 사례다. 그런 상황은 성남도 마찬가지다. 한나라당에 비해 다소 열세였던 이재명 성남시장 후보가 전격 공동정부 구성을 제안했고, 분당갑 지역의 후보를 양 당의 단일후보로 공천했고, 민노당 운동원들이 민주당 시장 후보를 선전하는 이색풍경도 연출했다.

결국, 이 시장은 당선됐고, 공동정부로 구성된 시장직인수위원회가 꾸려졌다. 파격적으로 민노당 출신 도의원 후보였던 김미희 씨가 인수위원장직을 맡았고, 분과별 위원장과 더불어 곳곳에 민노당 인사들이 포진했다. 가히 공동정부라 할 만 했다. 그런데 이제는 당 대표까지 나서 공동정부를 관리하고 있다. 민주당 입장에서 보면 껄끄러울 수밖에 없다. 제대로 된 당정위원회 한 번 꾸리지 못한 상태에서 민노당 대표의 시장실 방문을 두고 말이 많다.

과거 이대엽 시장이 박근혜 전 대표의 방문에 팔을 걷어 부치고 영접했던 기억이 되살아난다. 이러다 민주당이 아닌 민노당 시장이라 불릴지도 모른다.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특채 논란이 가열되는 속에서 성남시 산하 청소년육성재단과 시설관리공단이 ‘민노당 몫’이라는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공동정부 구성과정에서 흘러나온 말이었고, 실제로 최근 상황을 볼 때 그냥 지나쳐 들을 말은 아닌 듯하다. 만약, 이 말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공동정부는 ‘자리 나눠먹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말을 들어도 할 말이 없다.

100만 시민행복을 운운하면서 결국 자신들의 자리나 챙기는 그런 정도이니까 말이다.      

저작권자 © 분당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